본문 바로가기

정의로운전환

230608_정의당 혁신재창당 연속토론회 -3차 생태전환 -이현정 소장(정의당 부대표) 발언 ◦ 일시/장소 : 6월 7일(수) 14시 / 국회 본청 223호 ◦ 주최 : 정의당 혁신재창당추진위원회 사회비전소위원회, 정의정책연구소 □ 프로그램(사회 : 장석준 정의정책연구소 소장) 발제 ◦ 박항주(정의정책연구소 기후위기대응센터장) 토론 ◦ 이현정(정의당 부대표, 녹생정의위원회 위원장) ◦ 예윤해(정의당 경기도당 환경위원회 위원장) ◦ 김병권('기후를 위한 경제학' 저자) ◦ 이상헌(녹색당 녹색전환연구소 소장, 한신대) ◦ 강은빈(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운영위원장, 청년기후긴급행동 대표) 전체 토론회 영상은 다음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live/ev37RDmvxhE 반갑습니다. 사실 오늘 이 토론회 준비를 하면서 굉장히 여러 가지 생각이 들었어요. 과거에.. 더보기
홍천 양수발전소 / 송전탑 백지화 결의대회 참석 8월 26일에는 517차 강원생명평화기도회 및 양수발전소 송전탑백지화 결의대회에 참석하고, 기후정의동맹과 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또한 924 행진에 홍천에서 투쟁하시는 분들의 참석을 요청드리고,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가이드북도 전달해 드렸습니다. 이현정 소장의 발언 내용을 공유합니다. 반갑습니다.홍천으로 오면서 오늘 어떤 말씀을 드려야 할까 고민이 많았습니다. 제가 서울 이외의 지역에 강의를 가면 가장 많이 드리는 말씀은 죄송하다는 말씀입니다. 서울에 사는 사람으로서 다른 지역들에 오염과 폐기물과 위험을 떠넘기고, 그냥 버튼만 누르면 편하게 전기를 쓰고 있는 사람 중에 한 명으로서 죄송한 마음이 큽니다. 하지만 오늘은 그 말씀보다 먼저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려야겠다고 생각하면서 왔습니다. 이렇게 버텨주시고 .. 더보기
삼척석탄화력반대투쟁위 x 기후정의동맹 간담회와 맹방해변 방문 8월 13일, 이현정 소장은 기후정의동맹의 집행위원으로 삼척석탄화력반대투쟁위와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한 간담회에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맹방해변을 방문하여 924 기후정의행진을 알리고 함께 해 주실 것을 요청드리기도 했습니다. 덧. 강릉 안프로하우스에도 들러 924 포스터를 붙이고 왔습니다. 더보기
[지자체 기후 위기 대응과 노동의 과제] 발간 이현정 소장이 연구에 참여한 지자체 기후 위기 대응과 노동의 과제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보고서는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아볼 수 있습니다. >>>> http://kctuli.kctu.org/bbs/read.php?tbl=library&seq=440 더보기
기후정의버스 in 충남 당진 이현정 소장이 활동하는 기후정의동맹에서 7월 6일, 당진화력발전소를 찾아 현장 답사 및 정의로운 에너지 체제 전환을 위한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발전소 노동자들이 퇴근하는 시간에는 퇴근선전전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앞으로도 민주적, 생태적, 공공적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을 위해 늘 현장에서 함께하겠습니다. 더보기
2022년 132주년 노동절, 정의로운 전환 선전전 참여 멈춰, 반노동 정책! 엎어, 불평등 체제! 2022년 132주년 노동절, 기후정의동맹, 발전노조, 발전비정규노조 전체대표자회의, 에너지노동사회네트워크는 함께 모여 정의로운 전환의 필요성을 알리는 유인물을 뿌리고 집회와 행진에 함께 했습니다. 더보기
2022 차별없는서울대행진(차없서) 기후위기대응활동 동영상 이현정 소장은 민주노총 서울본부와 함께하는 너머서울 기후위기대응서울모임의 대표를 맡고 있기도 합니다. 2022년 차없서에서의 기후위기대응 활동과 이현정 소장 인터뷰를 담은 동영상을 공유합니다. 더보기
녹색정치LAB '그레' 창립포럼 [녹색정치와 진보정당, 미래를 말하다] 안내 녹색정치LAB '그레' 창립포럼 [녹색정치와 진보정당, 미래를 말하다] - 생태사회주의 정치 가능할까 모두들, 무사하신가요? 코로나19와 기후위기로 인한 폭우, 연이은 태풍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도 정부의 그린뉴딜은 사회의 근본적인 변화가 아닌 재벌 기업을 지원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 같습니다. 탈석탄과 재생에너지의 전면화, 순환경제 사회로의 이행, 노동자들이 주체가 되는 정의로운 전환, 우리의 삶을 지탱해주는 노동의 가치에 대한 재평가 등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 사회가 가야 할 길이 지금의 시스템에는 불가능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그레타 툰베리는 2018년 UN 연설에서 "이 시스템 안에서 해결책을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면, 우리는 시스템 자체를 변화시켜야 할 것"이라고 얘기한.. 더보기